<blutetooth>
• 정의: 작고 저렴한가격, 적은 전력소모(100mW)로 휴대폰,노트북,PDA 등과 같은 휴대용장치, 가정용 전자제품, PC주변장치들을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인터페이스 규격사양이다.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 2004년 현재 1.0, 1.1b버전이 상용화, 0.9~2.0까지 specification나옴.
• 보급형태: PCMCIA카드, USB Dongle, 내장형.
• 응용분야: 휴대폰(무선헤드셋, 인터넷접속, 인터콤/무선전화/휴대폰의 복합기능을 갖는 전화,전자상거래), 노트북(휴대폰통한 인터넷접속, 데이터교환 및 동기화)
• 규격 (v1.0,v1.1)
- 2.4GHz대역의 unlicensed ISM band
- 1Mbps -> ACL(비대칭 연결): 한쪽으로 723Kbps, 되돌아오는 건 57.6Kbps
-> SCO(대칭 연결): 432.6Kbps
- 간섭방지를 위한 Frequency Hopping(주파수 호핑) 방식: 79/23hop, 1600hop/sec
- 저소비전력(대기상태 0.3mA, 송수신시 최대 30mA)
- 전송거리: 10m (100m까지 가능)
- Class 1,2,3 송신파워: 100mW, 2.5mW, 1mW
- Modulation: GFSK(Guassian FSK)
- 3channel의 voice 지원
- Point-to-Point, Point to Multi 방식 -> Piconet, Scatternet
• 2.400~2.480GHz ISM대역을 사용, 1MHz간격으로 79채널을 사용해서 Frequency hopping방식, 1Slot이 625usec이므로 1초에 1600회 Freq.hopping을 한다.
• 장점: 이동성, 저렴한 비용, 개인 네트워크가 가능해짐.
휴대기기에 장착으로 개당 5달러 정도의 비용으로 대량출하가 가능
국제적으로 통일된 실질적 표준, 기술에 대한 강력하고 다양한 지원세력이 있다.
• 단점: 1Mbps의 저속, 제한된 동작범위, IEEE802.11 등과 상호 간섭 문제, 완벽한 상호 호환성을 이루기 위한 인증 문제, 전자상거래를 위한 보안 문제 등.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음. 기술개발의 미진으로 시장활성이 지연되고 있음.
진보된 배터리 기술도 해결해야할 과제.
• 프로토콜: OSI 7 layer를 모두 정의하고 있다. RFCOMM – PPP – IP – UDP/TCP – WAP
• 연결기술: Standby(대기), Page(예약), Inquiry(질의)
[Active] 데이터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
[Hold](중지) 주 목적은 전력소비 절감
[Sniff] slave에게만 해당. 전력소비절감이 hold보다는 덜됨. 데이터 전송을 안되지만 낮은 레벨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귀 기울임.
[Park](임시정지) hold보다 더 낮은 활동 레벨. 마스터와 동기화 하고 전해지는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신호를 듣는 상태.'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대역폭 측정(IPerf) (0) | 2012.01.02 |
---|---|
diff 사용하기 (0) | 2011.08.22 |
G.711 G.721/G.726 G.723/G.723.1 G.728 G.729/G.729A (0) | 2011.07.28 |
[WiFi Direct] 갤럭시S2 끼리 연결하는 방법 (0) | 2011.07.14 |
갤럭시S2 탑재 Exynos 4210(코드네임 오리온)의 성능. (0) | 2011.05.30 |